Mr. McMahon

캐릭터를 연기하는 자, 그 침범을 두려워할 것
netflix
documentary
Author

JS HUHH

Published

September 30, 2024

The TV Series

TL; DR

  • WWE의 역사를 미스터 맥맨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캐릭터를 연기하는 자와 캐릭터를 온전하게 나눌 수는 없다.

WWE라는 독특한 비즈니스

비즈니스는 단순한 거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개인의 역사, 콤플렉스, 욕망이 뒤섞여 세상과 부딪히며 만들어지는 복잡하고 때로는 기괴한 여정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성공 혹은 실패라는 객관적 평가와 다른 무엇을 대체로 보게 된다. 이 다큐멘터리는 WWE라는 비즈니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빈스 맥맨을 통해 비즈니스의 “캐릭터”를 보여준다. 참여자들에게 배우와 운동선수의 자질을 동시에 요구하는 WWE야말로 이러한 모습을 들여다보기 가장 좋은 곳이다.

WWE는 종종 “짜고 치는” 각본이라며 비판받지만, 그 내면에는 치열한 내러티브와 실제 몸을 부딪치는 스포츠를 넘어선 몸놀림이 존재한다. WWE의 흥미로운 점은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와 무대 뒤에서 숨은 내러티브가 복잡하게 얽혀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해낸다는 것이다.

이 다큐멘터리, “Mr. McMahon”은 WWE의 모든 세부 역사를 담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팬이라면 잊을 수 없는 주요한 역사적인 장면들을 고르게 담고 있다. 예를 들어 헐크 호건이 슈퍼스타로 형성되는 과정, 스테로이드 남용을 둘러싼 논란, 브랫 하트가 연루된 “몬트리올 스크루잡”, WCW와의 대립, 애티튜드 시대의 시작과 WWE의 부활 등이 그 내용이다. 빈스 맥맨의 후계 구도를 둘러싼 스테파니 맥맨과 셰인 맥맨 사이의 가족 경쟁(패밀리 비즈니스)도 흥미롭게 다뤄지고 있다. WWE의 팬이 아니더라도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다소 극단적인 비즈니스의 역사다.

캐릭터와 캐릭터를 연기하는 자는 구별될 수 있을까?

WWE는 매우 미국적인 스포츠다. 레슬러들은 각자의 페르소나를 극단적으로 과장해 무대 위에서 이를 몸의 스포츠로 풀어낸다. WWE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도널드 트럼프를 보자. 그가 WWE 링 위에서 보여준 모습과 정치 무대에서의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는 미국이라는 나라가 얼마나 ’과장’되어 있는지, 혹은 얼마나 솔직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다큐멘터리를 보는 내내 떠오른 것은 니체의 괴물 내러티브다. “괴물의 심연을 들여다보는 자는 괴물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그의 철학은 WWE와 빈스 맥맨의 이야기에 그대로 적용된다. 사업가로서 WWE 내에서 만들어진 악당 “미스터 맥맨”과 개인 “빈스 맥맨”은 처음에는 분리된 존재였을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둘은 점점 뒤섞였고, 결국 하나의 혼종과 같은 존재로 변해가지 않았을까? 이 과정에서 빈스 맥맨은 자신이 만들어낸 괴물 미스터 맥맨에 잠식된 것이 아닐까?

빈스의 성폭행 사건 연루 및 그로 인해 모회사 TKO 그룹에서 배제되는 과정이 소개되지만, 이 부분은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다큐가 완성될 즈음에 터진 사건이기에 어쩔 수 없었겠지만, 이 점은 다큐멘터리가 채우지 못한 아쉬운 대목이다.

문득 이것이 WWE만의 이야기일까 싶기도 하다. 결국 모든 사람은 관계에서 어떤 역할 수행(role-playing)을 하기 마련이다. 이 역할 수행은 나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나는 때로는 해악적일 수 있는 역할 수행에서 어느 정도까지 자유로울 수 있을까? WWE와 빈스 맥맨의 이야기는 이 질문을 매우 증폭되고 극단적인 형태로 우리에게 던진다.